
우당탕탕 코드 프로젝트
![[컴네] - 2주차](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GzBl%2FbtreLJZpiBt%2FUBBOUXh9WyhfKIdEda1SEk%2Fimg.png)
[컴네] - 2주차
인터넷 부품적 관점에서 보면 pc, 서버 등 인터넷과 연결이 가능한 장치들 -> 수백만개가 존재 -> 이러한 장치들을 host / end systems 라고 한다. host는 계산이 가능한 디바이스 이다. 다양한 host를 이용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게 된다. 다양한 호스트들이 인터넷망에 첫번째로 접근하게 될 때는 무선/유선 링크를 통해 접근하게 된다. 무선 링크는 눈에는 보이지않지만 연결되어 있는 링크 유선 링크는 그반대 이러한 링크를 우리는 커뮤니케이션 링크라고 한다. 커뮤니케이션 링크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는 transmission rate (전송속도)이다 이를 우리는 bandwidth라고 부른다. 이 장치들을 인터넷망(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해주는 - > 무선링크 / 유선 링크 이 링크와 링크를..
![[jsp]-스트립트 태그](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2YBJQ%2FbtreiPTj7ks%2FSYGHHMQhKnREUJ4irAbFKk%2Fimg.png)
[jsp]-스트립트 태그
스크립트 태그 을 사용한다. jsp 컨테이너가 자바 코드가 삽입되어있는 스크립트 태그를 처리하고 나머지는 html 코드나 일반 텍스트로 간주 선언문 태그 변수 : 전역 변수로 사용 메소드 : 전역 메소드로 사용 주의할 점은 선언문은 자바 코드로 사용되기 때문에 세미콜론으로 끝나야 한다. 클래스 수준의 멤버변수가 되므로 전역변수로 사용한다. 해당 jsp 페이지의 모든 스크립트 태그가 참조할 수 있는 전역 변수 어느 위치에서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나중에 선언된 스크립틀릿 태그에서 사용 가능 스크립틀릿 태그 자바 코드로 이루어진 로직 부분을 표현 out 객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html 응답을 만들어냄 선언문은 변수뿐만 아니라 메소드도 선언 서블릿 프로그램으로 변환될 때 메소드 외부에 배치 그러나 스크립틀..
[블록체인] - 비트코인에 대해서
09년초에비트코인네트워크탄생 비트코인은 왜만들었나 ? : 전자화폐시스템을 만들어보자 기존 시스템과 차별점? : 완전히 분산화된 전자화폐 시스템을 만들어보자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같이 개발이 되어 들어감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은 비트코인이 정상적으로 돌아갈 수 있게하는 하나의 핵심 기술 블록체인의 관점에서 봤을 때는 가상화폐에서만 쓰이는 기술은 아니다. 그니깐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하나의 app이 비트코인이다. 블록체인에 기록이 남게 되면 누구도 지울수 없음 기록들을 누구나 볼 수있도록 기록 -> 투명성 보장 비트코인은 암호화폐 비트코인은 코인이라는 개념이 없다. 앨리스가 1비트코인을 사겠다고 요청을했을때, 앨리스가 그 비트코인의 소유권자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공개키암호시스템을 사용하여 전자서명을 생성하여..
![[웹] - jsp 시작](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k6cIb%2FbtrdSdLRy1Z%2FetxcQ3KLJy1junGoWbD0qk%2Fimg.png)
[웹] - jsp 시작
웹은 클라이언트 / 서버 방식으로 동작 -> 클라이언트가 특정 페이지를 웹서버에 요청하면, 이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어 응답 "request " , "response" 역할 주요 키워드 정적 웹 페이지와 동적 웹페이지 정적 : 우리가 알고있는 html / 컴퓨터에 저장되어있는 텍스트를 직접 보여주는 동적 : 저장된 내용을 다른 변수로 가공 처리하여 보는 것 php / asp / jsp 스프링 프레임워크 node.js / html5 정적 웹 페이지 동작 방식 : 사용자가 웹페이지 request 하면 해당 url에 수신된 파일을 검색하여 미리 준비된 html문서를 클라이언트에게 넘겨준후 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방식 동적 웹 페이지 동작 방식 :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해..
[sqld]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1)
- 공부 이해 목적으로 작성하여 내가 몰랏던 부분 중심으로 작성예정 데이터 모델링 : 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 관점의 업무 분석 기법 -중요성 : 데이터 품질 --- 1. 유일성 (데이터 중복 저장 방지) 2. 유연성 : 데이터의 정의와 데이터 사용 프로세스 분리 3. 일관성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 : 개념적 모델링 ( 엔터티와 속성 도출, ERD 작성 ) 논리적 모델링 ( 식별자를 도출, 속성과 '관계' 등을 '정의' , 정규화 수행 -> 독립성 및 재사용성 확보) 물리적 모델링 ( DB를 구축, 물리적인 (성능, 보안) 성격 고려) 계획 > 분석 : 개념적 모델링 분석 : 논리적 모델 설계 : 물리적 모델링 외부 스키마 : '사용자 관점 ' 개념 스키마 : '설계자 관점 ' , 조직전체의 통합된 D..
![[JS] -이벤트](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MDccJ%2Fbtq9gqcApyN%2FjhFjDygfslzGbL74wLIQsK%2Fimg.png)
[JS] -이벤트
출처 - 이고잉님의 인프런 강의 [ WEB2 - JavaScript ] 이벤트 웹브라우저 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사건 즉 Event라고 한다. 빨간 동그라미 친 부분이 이벤트이다. 어떤 이벤트가 일어났을 때 어떠한 JS가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로 이 onclick이라는 것이다. onclick 속성을 활용한 예시를 보자 위의 사진처럼 버튼을 누르게 되면 버튼을 눌렀다는 경고창이 나타나게 된다. 다른 이벤트로는 onchanged, onkeydown 등이 있는데 이것들도 모두 이벤트이다. 그러면 웹브라우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이벤트들은 무수히 많다. 웹브라우저는 웹브라우저 위에서 일어나는 여러 사건 중에, 기념할 만한 것들 (사용자들에게 유용할만한) 몇 가지, 약 10~20개 정도 되는 이벤트들을 정의해 놓..
![[알고리즘] - Graph Algorithms](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I9L3n%2Fbtq58YQgErr%2F57uoH0kvKzTdCkABsxk3T0%2Fimg.png)
[알고리즘] - Graph Algorithms
Graphs의 기본 - Graph : 쌍들의 집합, 쌍을 이루는 원소 사이의 관계 (두 개의 객체를 묶어 놓으면 관계가 생겨) - Graoh의 구성 요소 : (V,E) / V : vertex, 정점 들의 집합 / E : edge , 간선 들의 집합 - Dirextex : 방향 그래프 -undirexted graphp: 방향이 없는 무향 그래프 - simple graph : loop 혹은 mutiplae edge(같은 하나의 정점에 두개 이상의 간선이 존재하는 경우) 가 없다 - Neighbor : 이웃, - Degree : vertex에 달려있는 간선들의 갯수(정점에 달려잇는 이웃들의 개수) (차수) - Subgraph : 부분 그래프, 주어진 그래프 G에서 vertex와 간선들의 부분집합을 꺼내와서 만..
[운영체제] -Nachos 프로젝트 - KThread.join()구현
Thread Join? 쓰레드 조인은 쓰레드 간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A쓰레드와 B쓰레드가 존재한다고 해보자. 쓰레드 B가 쓰레드 A가 종료된 다음에 실행될 필요가 잇을 때, 쓰레드 B는 쓰레드 A에 조인하게 되어 쓰레드 A가 완전히 다 끝난 다음에 수행된다. 쓰레드 C가 있을 때, 쓰레드 C는 쓰레드 A와 B가 모두 다 끝난 상태에서(컴파일이 모두 끝난 상태)에서 실행해야 올바르게 링킹이 되기 때문에 A,B쓰레드가 모두 실행된 뒤에 실행되어야 한다. 쓰레드 조인은 이를 보장할 수 있는 툴이다. Thread.join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할까 Thraedjoin은 기다려야하는 쓰레드가 Threadjoin을 호출한다. 왜 기다려야하는 쓰레드가 Threadjoin을 호출할까?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