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포트폴리오 프로젝트에서 Jenkins와 Docker를 활용한 CI/CD 구축하기

    이번 포스트에서는 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에서 Jenkins와 Docker를 사용하여 어떻게 CI/CD를 구축한지, 그 과정에서 겪은 여러 문제들과 그 해결 과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 포스팅은 jenkins 서버와 운영서버를 구축하며 발생한 오류에 대해서 다루고, 서버를 어떻게 설치하고, 서버내에 docker 설치, jenkins설치, jenkins 기본설정 등에 대해서는 다른 블로그들에 정보가 많기 때문에 약소하게 다룰 예정입니다. 먼저, CI/CD란 무엇인지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CI/CD는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과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ployment)를 의미하는데, 이는 개발자들이 작업한 코드를 지속적으로 통합하면서 빠르고 효율적으로 어..

    K6를 통한 PortfoGram의 성능 개선 과정 및 결과

    K6를 통한 PortfoGram의 성능 개선 과정 및 결과

    📝 이 글을 쓰는 이유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 서버 성능 테스트란 ? API 요청이 많은 상황에서 서버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는 테스트입니다. 테스트의 목적에 따라 smoke 테스트 stress test load test 로 나눠집니다. 🔍 서버 성능 테스트의 목적 요청을 얼마나 잘 처리하고 시스템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을 식별하기 위해서 성능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서버 또는 인프라스트럭처를 확장 또는 축소하는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 🕰 서버 성능 테스트는 언제 진행할까? 기존 서비스의 트래픽 증가 예상 기존 기업의 서비스라면, 평소보다 트래픽을 훨씬 많이 받아야 하는 경우에 성능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새로운 서비스 오픈 트래픽 인입이 많을 ..

    [sqld]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1)

    - 공부 이해 목적으로 작성하여 내가 몰랏던 부분 중심으로 작성예정 데이터 모델링 : 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 관점의 업무 분석 기법 -중요성 : 데이터 품질 --- 1. 유일성 (데이터 중복 저장 방지) 2. 유연성 : 데이터의 정의와 데이터 사용 프로세스 분리 3. 일관성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 : 개념적 모델링 ( 엔터티와 속성 도출, ERD 작성 ) 논리적 모델링 ( 식별자를 도출, 속성과 '관계' 등을 '정의' , 정규화 수행 -> 독립성 및 재사용성 확보) 물리적 모델링 ( DB를 구축, 물리적인 (성능, 보안) 성격 고려) 계획 > 분석 : 개념적 모델링 분석 : 논리적 모델 설계 : 물리적 모델링 외부 스키마 : '사용자 관점 ' 개념 스키마 : '설계자 관점 ' , 조직전체의 통합된 D..

    [웹] [백엔드] - SQL(2) MySQL 기본 용어

    1. SQL은 ; (세미콜론)으로 끝난다. 2. SQL은 쿼리라고 읽는다. 쿼리= DBMS에 명령을 내릴 때 사용하는 문장 3. 쿼리에 해당하는 결과의 전체 row를 출력하고 마지막에 전체 row 수 및 쿼리 실행에 걸린 시간을 표시한다. 4. 키워드는 대소문자 구별 X 5. 쿼리 이용해 계산식의 결과 구하기 가능 6. 여러문장을 한 줄에 연속으로 붙여서 실행 가능 7. 여러줄로도 입력가능 -> ;으로 문장을 구분하기 때문에 8. 긴 쿼리 작성 중 취소하고 싶을 때 : \c 붙여주면 취소가능 9. DBMS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확인하기 show databases을 사용하여 확인 10. 사용중인 데이터 베이스 전환하기 use command 사용

    [웹] [ 백엔드 ] - SQL (1) 정의 및 분류, Database 생성 및 권한

    [웹] [ 백엔드 ] - SQL (1) 정의 및 분류, Database 생성 및 권한

    출처- 네이버 부스트 코스 웹 백엔드 코스에서 배운 것을 바탕으로 정리 및 공부하였습니다. SQL의 정의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작, 쿼리하는 표준 수단 구조화된 쿼리 언어로, 데이터를 검색, 추가, 삭제, 수정 같은 조작을 할 수 있는 컴퓨터 언어 SQL의 분류 1. DML ** 데이터 조작 ** 2. DDL ** 스키마 정의 및 조작** 3. DCL ** 데이터 제어, 데이터 보안, 무결성등을 정의** MySQL 시작하기 1. Database 생성하기 mysql-uroot-p #비번 입력 mysql>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이름; 2. 해당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는 계정 생성 데베 생성했다면 그 데베를 사용하는 계정 생성 필요 데이터베이스 이름 뒤 * 은 모든 권한을 의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