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JSP]- 내장 객체

    내장 객체 : JSP 페이지에서 JSP 컨테이너에 미리 정의된 객체이다. JSP컨테이너가 자동으로 내장객체를 멤버 변수, 메소드, 매개변수 등의 각종 참조 변수(객체)로 포함한다. 별도의 IMPORT 문 없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스크립틀릿 태그나 표현문 태그에 선언을 하거나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도 직접 호출하여 사용 가능하다. request 내장 객체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 내장 객체 이다. - 웹브라우저에서 서버의 JSP 페이지로 전달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 폼 페이지로부터입력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요청 파라미터 값을 JSP 페이지로 가져온다. - 요청 파라미터는 형식으로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의 JSP 페이지로 전송한다. 요청 HTTP 헤더 관련 메소드 - 웹브라우저는 http 헤더에 부가적..

    [jsp]-액션태그

    [jsp]-액션태그

    액션태그 1. 서버나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명령하는 태그 2. jsp 페이지에서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를 제어하거나 / 다른 페이지의 실행 결과 내용을 현재 페이지에 포함하거나 / 자바 빈즈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3. xml 형식 을 사용한다. 4. 액션 태그는 반드시 끝나는 태그 "/>"로 마무리 한다. 1) forward 액션태그 jsp 현재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태그 jsp 컨테이너는 현재 jsp 페이지에서 forward 액션 태그를 만나면 -> 그전까지 출력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을 모두 "삭제"하고 forward 액션 태그에설정된 페이지로 프로그램의 제어가 이동 형식 :

    [jsp] - 디렉티브 태그

    [jsp] - 디렉티브 태그

    디렉티브 태그 - jsp 페이지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태그 jsp 페이지가 서블릿 프로그램에서 서블릿 클래스로 변환할 때 1) page - jsp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설정 2) include- 하나의 jsp만 쓰는게 아니라 다른 페이지에 있는 소스코드를 가지고 올수 있음 jsp 페이지의 특정 영역에 있는 다른 문서를 포함한다. 3) taglib- jsp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태그 라이브러리 옵션이 있는데 그 옵션을 설정한다. 1) page 디렉티브 태그

    [jsp]-스트립트 태그

    [jsp]-스트립트 태그

    스크립트 태그 을 사용한다. jsp 컨테이너가 자바 코드가 삽입되어있는 스크립트 태그를 처리하고 나머지는 html 코드나 일반 텍스트로 간주 선언문 태그 변수 : 전역 변수로 사용 메소드 : 전역 메소드로 사용 주의할 점은 선언문은 자바 코드로 사용되기 때문에 세미콜론으로 끝나야 한다. 클래스 수준의 멤버변수가 되므로 전역변수로 사용한다. 해당 jsp 페이지의 모든 스크립트 태그가 참조할 수 있는 전역 변수 어느 위치에서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나중에 선언된 스크립틀릿 태그에서 사용 가능 스크립틀릿 태그 자바 코드로 이루어진 로직 부분을 표현 out 객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html 응답을 만들어냄 선언문은 변수뿐만 아니라 메소드도 선언 서블릿 프로그램으로 변환될 때 메소드 외부에 배치 그러나 스크립틀..

    [웹] - jsp 시작

    [웹] - jsp 시작

    웹은 클라이언트 / 서버 방식으로 동작 -> 클라이언트가 특정 페이지를 웹서버에 요청하면, 이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어 응답 "request " , "response" 역할 주요 키워드 정적 웹 페이지와 동적 웹페이지 정적 : 우리가 알고있는 html / 컴퓨터에 저장되어있는 텍스트를 직접 보여주는 동적 : 저장된 내용을 다른 변수로 가공 처리하여 보는 것 php / asp / jsp 스프링 프레임워크 node.js / html5 정적 웹 페이지 동작 방식 : 사용자가 웹페이지 request 하면 해당 url에 수신된 파일을 검색하여 미리 준비된 html문서를 클라이언트에게 넘겨준후 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방식 동적 웹 페이지 동작 방식 :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해..

    [JS] -이벤트

    [JS] -이벤트

    출처 - 이고잉님의 인프런 강의 [ WEB2 - JavaScript ] 이벤트 웹브라우저 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사건 즉 Event라고 한다. 빨간 동그라미 친 부분이 이벤트이다. 어떤 이벤트가 일어났을 때 어떠한 JS가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로 이 onclick이라는 것이다. onclick 속성을 활용한 예시를 보자 위의 사진처럼 버튼을 누르게 되면 버튼을 눌렀다는 경고창이 나타나게 된다. 다른 이벤트로는 onchanged, onkeydown 등이 있는데 이것들도 모두 이벤트이다. 그러면 웹브라우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이벤트들은 무수히 많다. 웹브라우저는 웹브라우저 위에서 일어나는 여러 사건 중에, 기념할 만한 것들 (사용자들에게 유용할만한) 몇 가지, 약 10~20개 정도 되는 이벤트들을 정의해 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