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_me
우당탕탕 코드 프로젝트
mini_m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0)
    • 알고리즘 (4)
    • 자료구조 (5)
    • 운영체제 ( OS ) (7)
    • JSP (6)
    • 스프링 (5)

블로그 메뉴

  • 홈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Greedy Algorithm
  • 자바스크립트
  • Clone Graph
  • Oracle Cloud
  • trie
  • leetcode
  • mst
  • 알고리즘
  • graph algorithm
  • dockerhub
  • smoke test
  • SQLD
  • 그래프 알고리즘
  • 디렉티브 태그
  • 부하테스트
  • spanning tree
  • 연결리스트 # 열혈 자료구조 #자료구조
  • 데이터 모델링
  • load teet
  • grafana
  • Database 생성 및 권한
  • 백엔드
  • K6
  • 자동화
  • #연결리스트 #자료구조 #연결 리스트 #전공 공부
  • docker
  • jenkins
  • 그리디 알고리즘
  • ci/cd
  • influxdb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mini_me
카테고리 없음

[컴네] - 2주차

[컴네] - 2주차
카테고리 없음

[컴네] - 2주차

2021. 9. 11. 20:29

인터넷

부품적 관점에서 보면

pc, 서버 등 인터넷과 연결이 가능한 장치들

-> 수백만개가 존재 

-> 이러한 장치들을 host / end systems 라고 한다. 

host는 계산이 가능한 디바이스 이다.

다양한 host를 이용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게 된다. 

다양한 호스트들이 인터넷망에 첫번째로 접근하게 될 때는 무선/유선 링크를 통해 접근하게 된다.

무선 링크는 눈에는 보이지않지만 연결되어 있는 링크

유선 링크는 그반대

이러한 링크를 우리는 커뮤니케이션 링크라고 한다.

커뮤니케이션 링크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는 transmission rate (전송속도)이다

이를 우리는 bandwidth라고 부른다.

이 장치들을  인터넷망(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해주는 - > 무선링크 / 유선 링크

이 링크와 링크를 연결해주는 라우터

라우터는 packet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packet이라는 것은 데이터의 덩어리를 말한다.

 

이렇게 인터넷이 이뤄져 있다.

 

프로토콜 :

1) 사람이 사용하는 프로토콜 : 약속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상대방에게 물어보는 프로토콜은 "지금 몇시야?"같은 메세지를 전달하고

 그 메세지를 받은 사람은 그에대한 적절한 행동을 취한다. 

 2) 네트워크에서의 프로토콜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모든 커뮤네케이션 액티비티는 프로토콜에 의해 지배받아 사용하게 된다.

  사람이 사용하는 프로토콜보다 훨신 더 엄격하다.

 

프로토콜의 정확한 정의 )

프로토콜은 포맷(형식)을 정의, ordaer(순서)을 정의, action(행동)을 정의 한다.

엔티디 사이의 메세지의 형식과 순서를 정의한다.

프로토콜은 액션도 정의하게 되는데

어던 행동들을 정의하게 되느냐 ? -> 메세지를 받았을때, 전달할때 취하는 행동들을 정의하는 것도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 가장자리에 있는 모습

1. network edge

클라이언트와 서버 같은 호스트들이 들어있다.

서버도 네트워크 엣지에 존재

서버들은 종종 데이터 센터에 들어있다. 데이터 센타 조차도 네트워크 엣지이다.

2. access 네트워크

네트워크 코어에 접근하는 네트워크

3. 네트워크 코어 - global isp / reginal isp

라우터들이 서로 연결되어있다.

실제로 네트워크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있어서 이루어져있는 부분들

 

엔드 시스템을 엣지 라우터(첫번째 나오는 라우터/ 우리의 호스트가 제일 처음만나는 라우터)

즉  우리의 호스트가 처음 만나는 호스트를 포함하여 네트워크를 코어 네트워크로 연결해주는 라우터

까지 연결해주는 네트워크를 access network를 말한다.

institutional access는 학교 네트워크나 회사 네트워크를 말한다. 

모바일 엑세스 네트워크는 wifi 등

access 네트워크에서 중요한것

-> bandwidth : bps단위로 이루어짐,  밴드 스위치가 얼마냐가 중요

공유하는 네트워크인가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인가도 알아볼 필요가 있다.

access router

네모쳐진 라우터는 중간에 필요에 의해서 라우터가 또 쓰일 필요가 있다. 

access 네트워크는 종류가 많다.

 

최초의 access 네트워크는 전화망을 이용한 access network이다.

-> dial-up Modem을 사용하는 것이 최초의 access 네트워크

-최대 56kps 속도로 연결해주었다.

-전화와 인터넷 서핑을 동시에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항상 연결되어있는것은아니다)

그 이후에는 인터넷 접속속도를 높이고자 dsl이라는 기술이 나타났다.

dsl 모뎀이라는 것을 통해서 좀더 빠르게 전달할수있게하는 모뎀

이것 역시 기존의 전화망을 그대로 access 네트워크로 사용하였다.

대신 센트럴 오피스까지 가는 속도를 증가시켜주었다.

dsl 모뎀은 데이터를 dsl phone line을 통해 전달

동시에 dsl phone line을 통해 음성신호도 동시에 전달

속도가 빨라진게 중요한 변화이다.

그래서 인터넷과 전화서비스를 동시에 제공 가능하였다.

2000년도 초반정도에 활발히 사용되었다. (2000년대에서 2005년대까지 쓰였다.)

 

cable network ( 케이블 모뎀)

현재에서도 활발히 사용

케이블 모뎀이라는 장치를 두고 유선케이블을 spitter을 이용해서 동시에 연결

집밖으로나가는 유선케이블은 하나여서 이선을 통해 실제로 인터넷 access 네트워크를 동해 라우터까지 연결하는 장치가 케이블 네트워크이다.

동축선(유선케이블)에는 채널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채널이라는 것은 데이터를 보내는 특정한 구간(주파수)를 이야기 한다.

채널1번에는 1번 비디오 데이터르 보낼 수 있는 그런형식

채널별로 데이터를 보낼수있는 네트워크를 만들수있다,.

채널은 (FDM방식) 주파수 단위로 형성되는데 서로다른 주파수 채널에 서로 다른 데이터들(서로다른 구역들을 가진다)을 보낼 수 있게 하는  원리를 이용해서 케이블을 이용해서 인터넷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주파수를 채널로 쪼개다보면 빈 밴드가 있는데 그밴드에 데이터를 실어보내는 것이 케이블 

케이블 모뎀은 케이블 서버가 밴드을 독점한다. (kbs는 이 밴드를 할당 ebs는 이 밴드를 할당)

wifi의 경우에는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채널을 경쟁하여 쓴다.

HFC - 광섬유와 동축선을 서로 섞어서 하이브리드하게 쓰는 것을 말한다.

케이블 네트워크는 HFC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구현되는 것이다.

그래서 서로 다운 스트림과 업 스트림이 다르다.(다운인 경우 30mpbs, 업인경우 2mpbs)

다운과 업의 전송속도가 다른것을 asymmetric한방식이라고 한다.(대칭적이지 않은 방식)

이렇게 설계하는 이유는 업스트림으로 데이터를 올리는 것보다 다운스트림으로 데이터를 받는 것이 훨씬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떄문이다. 대부분 데이터를 받는쪽이 많아 비대칭적으로 형성

이런 케이블과 광섬유는 네트워크로 만들어져 홈에서 isp까지 연결된다.

홈은 shar access network을 사용하여 케이블 헤드엔드까지 간다.

shared 여서 사용자들이 몰리면 느려진다.

 

Fiber to the Home (집에서 가장 많이 쓰는 network)

줄여서 FTTH

광섬유가 집에까지 전달된다,

광섬유으 빛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보낸다

빛 신호를 디지털로 (그 반대)로 바꾸는 것이 광 모뎀의 역할이다. 

optical link가 센드럴 오피스로부터 집까지 바로 연결된다. (엄청나게 속도가 빠르다)

광섬유를 통해서 연결하는 방식은 pon 과 aon이 있다.(별로 중요 ㄴㄴ)

중요한 것은 FTTH를 이용하는 전송이 속도가 가장 빠르다.

(1gbps의 속도를 가진다.)

 

반응형
    mini_me
    mini_me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